티스토리 뷰
경기침체기에서의 증시는 상승 or 하락?? 나는 오늘도 HODL 할 뿐
극심한 인플레와 급격히 상승하는 기준 금리는 유동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어 시장경제를 통째로 뒤흔들 수 있는 일종의 경고로서 인류 역사에서 수없이 반복되어 왔던 패턴이다. 그러나 리먼 이후 어느 정도 선에서(2017년 10월부터 서서히 양적긴축을 준비. 미중 무역사태가 그 사례 중 하나) 풀린 유동성을 회수해야 할 타이밍에 코로나 사태까지 터지면서 2021년까지 무려 13년간 양적완화가 지속되었다. 시장에 풀린 돈이 추산으로 대략 약 3조 7000억 달러, 한화로 4070조원이나 되니 이런저런 이유를 다 드러내 보지만 인플레가 오지 않을 수가 없다. 그렇다면 증시는 어떠한 움직임을 가질까?
1950년 이후 경기 침체 기간 동안 S&P500 지수의 평균 하락은 고점 대비 약 29%이다. 이를 토대로 월가에선 S&P500 지수가 약 20% 이상 하락 시에는 경기 침체 신호 및 공식(?) 약세장으로 분류하며 올해 2022년 1월 4일 고점 4,818.62 대비 2022년 10월 13일 저점 3,491.58를 비교해보면 대략 27.5% 하락(종가기준으로는 약 23.4%)으로 일찌감치 기준금리의 자이언트 스텝 시기인 6월부터 약세장 및 경기침체 신호라고 매스컴에서 열을 올리는 중이다.
코스톨라니의 주인과 개의 산책론 및 달걀 이론에서 이미 증시에는 사이클이 존재하며 결국 종국에는 그 가치에 가격이 수렴함을 알 수 있었다. 경제 역시 사이클이 존재하며 이러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그림 2는 전통적인 경제 주기에서의 각 단계별 특징을 차트와 함께 A ~ D 로 표기되어 있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경제 단계 | 경제 사이클의 특징 |
A(회복) | ● 소비자 기대치 상승 ● 산업 생산 증가 ● 금리 상승 ● 주가 상승 ● GDP 상승 |
B(피크) | ● GDP 정점 ● 고용 정점 |
C(침체) | ● 소비자 기대치 하락 ● GDP 하락 ● 실업률 증가 |
D(전환기) | ● 수익률 곡선 역전 또는 평탄화 ● GDP 낮음 또는 부정적 ● 소비자 기대치 낮음 |
결국 위 단계를 보면 코로나로 인해 풀린 유동성으로 빠른 회복 및 정점을 찍은 2021년을 마지막으로 올해 증시는 1년 내내 침체로 접어들어 내년까지 침체 및 전환기로 들어간다는 것을 지표 및 고용 소식 등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증시와 경제의 사이클을 동일한 타임라인으로 입혀보면 어떠한 결과가 나타날까?
주가는 현재의 상황이 아닌 미래에 일어날 사건이 미리 반영된다는 것으로 이는 코스톨라니의 ‘페따 꼼쁠리(Fait accompli), 기정사실화’라고 이미 책에서 알게 된 내용이며 소위 기적의 선반영이라는 말로 설명되는 이러한 현상은 누군가는 짧게는 한 분기(3개월), 길게는 한 해 미리 반영된 결과라고도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시각화한 사항이 그림 3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조심스럽게 개인적인 생각을 피력해본 다면, 지금은 경기침체기로 이미 진입을 한 것 보이며(이 사항에 대해선 대다수가 동의할 수 있지 않을까?) 빅테크를 필두로 한 본격적인 실업과 이에 따른 파산 기업 속출 등의 소식이 들려올 때가 경기 침체의 바닥이지 않을까 한다. 시기는 그 누구도 알 순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투자의 대가라고 일컫는 저점 매수의 신인 워런 버핏도 최근 중국과 대만 간의 국가 간 극심한 긴장과 경기 침체에 따른 반도체 수요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 최대 반도체 제조기업인 TSMC를 대량 매수하여 그의 포트폴리오에서 Top 10으로 진입시킨 점,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10월 13일 각각 10,088.83, 3,491.58 저점을 찍은 이후 소폭 상승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시장은 이미 내년쯤 올 경기침체를 이미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물론 아직까지 증시 바닥론을 검증되어야 할 부분이 더 있다. 그림 5에서 보듯 S&P500 지수가 작년 고점을 기점으로 약세장 랠리를 나타내고 있고 소위 추세선이자 저항선인 4,073 부근(Peak 로 표기된 부분)을 통과하느냐의 여부다. 물론 이를 통과하더라도 일시적일 수도 있으니 더 지켜봐야 할 사항이긴 하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보면 아래 그림 5와 같이 경기침체 이후에는 기록적인 상승장이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수치상으로 확인해 보면(그림 7) 경기 침체 후 1년 동안 15% 이상 평균적으로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주식에선 100%는 없으며 역사는 답이 아니라 단지 지침을 제공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나는 앞서 말했듯 장기투자를 하기로 했다. 장기투자자에게 경기침체는 필연적이며 앞으로도 수없이 많은 약세장이 찾아올 것이다. 시장참여자로서 계속 버텨내느냐 시장에서 벗어나느냐에 따라 내 계좌 및 미래의 인생이 결정된다는 신념으로 오늘도 난 현생을 열나게 살아가며 현금을 채굴하여 저점매수를 실천할 뿐이다. 워런 버핏이 말했다. 10년 이상 볼 것이 아니라면 10분도 그 주식을 들고 있지 말라라고! 여러분들은 어떠한 성향의 투자자이신가요? 모두들 성투하길 기원하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장기투자에 대한 아래 짤을 마지막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