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각종 언론에서 보도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부자 기준의 구체적인 액수가 제시되었다. 지난 20일 한화생명 등에 따라 집계된 2021년 기준 상위 1%는 29억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인 기사 내용은 아래와 같다.
2021년 기준 대한민국 부자가 되기 위한 순자산 액수
- 상위 0.1%: 76억 8,000만 원
- 상위 1%: 29억 2,010만 원
- 상위 5%: 13억 3,500만 원
- 상위 10%: 9억 원
여기서 순 자산이라고 하면 자기 재산에서 빚과 차입금 등을 제외한 나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집(부동산)과 자동차, 현금 등을 칭한다고 한다. 물론 빚 없이 투자하고 있는 금융상품도 포함될 것이다.
상위 1% 기준 구체적인 통계 자료
- 부자들의 총 가구 수: 20만 9,000여 가구. 평균 가구원 수는 2.8명. 따라서 이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총 58만 6천여 명이 대한민국 상위 1% 부자가 되는 것이다.
- 가주주의 평균 나이: 63.5세
- 거주하는 지역: 72%가 수도권에 거주
- 가구의 연평균 소득: 2억 1,571만 원 (일반 가구 소득은 6,125만 원으로 이 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
- 월 최소 생활비: 359만 원
- 월 적정 생활비: 522만 원
- 자가 거주 비율: 88.5%. 나머지 중 전세 비율은 7.7%, 월세는 3.8%
이 밖에 상위 1%의 부자들의 평균 은퇴 연령은 70.7세로 이 역시 전체 평균인 68.2세보다 늦은 시점에 은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를 진행한 한 보험사 관계자의 말로는 이들 대부분은 부동산 및 주식 등의 적극적인 재테크를 통한 재산 증식이 주를 이뤘다고 한다. 추가로 개인연금 가입 등을 통해 노후 역시 탄탄하게 준비하는 경향을 보인다고도 한다.
물론 이렇게 구체적인 액수만을 가지고 '나는 부자다'라고 판별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부자라는 기준과 개념 자체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계를 보면서 느낀 것은 역시나 젊은 부자들은 정말 드물구나 하는 생각이다. 워런 버핏 옹께서도 그러시지 않았나! 물론 미국과 한국의 경제적 차이와 살아온 환경 자체도 다르기에 전적인 기준과 잣대를 보이기엔 무리가 있어 보이지만, 그래도 그가 이룬 부의 대부분은 그의 나이 60대를 넘어서면서부터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에서는 부자라고 한다면 각종 억측과 함께 부정한 방법으로 부자가 되었다고 매도하거나 도둑놈으로 몰아가는 습성이 있다. 물론 그런 부류가 부지기수이기도 하고 최근에도 나오기도 했었다.
그러나 부자를 흉본다고 해서 그들이 가난해지는 것도 아니고 내 생활만 더 피곤해지는 법이다. 우리 모두는 지금 이 순간도 부자가 되기 위해, 되고자 노력하면서 가족들과 행복하게 사는 것이 목표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진짜 부자들의 습성과 함께 그들의 삶에 대한 자세를 충분히 이해하고 배워야 할 것은 배워야 할 것이다. 물론 위 사례와 같은 일은 제외하고 말이다!
최근에 필자가 감명 깊게 읽었던 책인 '세이노의 가르침'에서 진정 부자에 대해서도 거론된다. 책의 한 부분을 인용하면서 글을 마치고자 한다. ('세이노의 가르침'에서는 열심히 몸값을 올려서 노동 수익을 주된 목표로 하라고 거론하기도 했지만...) 모두들 성투하시길!!
"참부자들의 생각과 마음을 배워라. 부자는 돈독이 들어 부자가 된 사람들이 아니다. 무슨 일을 하건 간에 시간과 노력을 아낌없이 투자하여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를 가져올 때 부자가 태어나는 것이다. 그들은 그 과정에서 환희를 느끼며 살아온 사람들이며 당신의 생각과는 달리 전혀 불행하지도 않고 도둑놈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