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의 마지막 거래일인 11월 30일, 지난 10월 CPI 발표날인 11월 10일 이후 또 한 번 미국 3대 지수가 하늘 높이 날아올랐고(그림 2), 그 환희를 그림 1을 통해서 느낄 수 있다. 무엇이 이토록 시장을 다시 열광하게 만들었을까? 미 현지시각 11월 30일 미 동부시간 오후 1시 30분(한국시간 새벽 3시 30분) 브루킹스 연구소가 주최한 한 행사에서 ‘경제전망, 물가 상승률, 노동 시장’에 대한 주제에 대해 연준 의장인 제롬 파월(Jerome Powell)의 연설이 있었다. 지난 11월 10일 전월 CPI 발표 이후 높은 인플레이션 상쇄에 대해 기대감을 가졌으나 연준 내에서 대표적인 ‘매파’ 적 스탠스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제임스 불러드를 필두로 존 윌리엄스(뉴욕), 로레타 메스터(클..

내년 1월 1일부터 미국에 상장된 공개 거래 파트너십(PTP, Publicly Traded Partnership) 대상 상품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 매도 금액의 10%를 세금(원천징수)으로 부과할 수 있는 조세법안이 미국 국세청(IRS, Internal Revenue Service) Section 1446에 의해 시행된다. 이는 지금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 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 22% 이외에 해당 관련 ETF 등을 보유하여 내년에 매도하게 되면 무. 조. 건 이득과 손실에 상관없이 매도 금액의 10%를 추가로 세금으로 징수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해당 상품을 1000만 원가량 보유하였고 내년에 20% 손실을 봐서 800만 원이 되어 손절매한다고 해도 매도 금액 800만 원의 10%에 해당하..

(투자 전문가가 아니며 특정 주식의 매도매수 추천도 아님을 서두에 밝힙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 본인에 있음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드립니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연일 뜨거운 핫이슈가 마구마구 쏟아지고 있다. 미국의 유수의 기업들이 트위터 광고 중단을 선언하고 떠나가고 있는 와중에 28일 매스미디어 중 하나인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에서의 큰 이슈가 하나 터져 나왔다. 이로 인해 29일 오늘 새벽 2시 45분경 일론의 한 트윗으로 전 세계 시총 1위 애플과의 마찰이 시작되었다. 애플이 트위터 광고를 중단함으로써 애플은 미국에서의 언론의 자유를 싫어하느냐는 비판의 트윗이 올라오면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자아내었다. 이에 더해 일론은 직접적으로 애플의 현 수장인 CE..

경기침체기에서의 증시는 상승 or 하락?? 나는 오늘도 HODL 할 뿐 극심한 인플레와 급격히 상승하는 기준 금리는 유동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어 시장경제를 통째로 뒤흔들 수 있는 일종의 경고로서 인류 역사에서 수없이 반복되어 왔던 패턴이다. 그러나 리먼 이후 어느 정도 선에서(2017년 10월부터 서서히 양적긴축을 준비. 미중 무역사태가 그 사례 중 하나) 풀린 유동성을 회수해야 할 타이밍에 코로나 사태까지 터지면서 2021년까지 무려 13년간 양적완화가 지속되었다. 시장에 풀린 돈이 추산으로 대략 약 3조 7000억 달러, 한화로 4070조원이나 되니 이런저런 이유를 다 드러내 보지만 인플레가 오지 않을 수가 없다. 그렇다면 증시는 어떠한 움직임을 가질까? 1950년 이후 경기 침체 기간 동안 ..

경기침체는 과연 다가오는 것일까? 현재 시점에서 경제의 모든 지표들이 경기침체의 신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누구도 확실하게 시점에 대해서는 알 수 없고 맞출 수도 없겠지만, 과연 경기침체는 언제 오는 것이며 언제쯤 찾아오는 지에 대해서 지표를 통해 한 번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경기침체라는 말의 뜻을 알아보았다. 흔히 말하는 경기침체는 영어로는 Recession이라고도 하며 국내에선 다른 말로 경기후퇴라고 정의된다. 위키백과에서 찾아본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경기후퇴(景氣後退, recession)는 경기 순환의 여러 국면에서 경기가 하락하는 상태, 즉 경제 활동의 전반적인 감소로 나타나는 경제 활동 위축이다. 경기후퇴는 일반적으로 경제 주체의 소비가 감소했을 때 발생한다. 금융..

나는 장기투자를 하기로 결심하여 무수히 쏟아지는 역대급 및 그에 따른 거시경제 흐름에서의 변동성은 일시적이라고 스스로 세뇌하며 엉덩이 힘 꽉 주고 버텨내고 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알고 안 하는 것과 몰라서 못하는 것에는 하늘과 땅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올해 미국 중간선거도 있었고 해서 역대 미 중간선거 이후 증시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확인하고 올해 및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에 대한 지표 정도로 삼아보고자 한다. 미국은 중간선거를 2년마다 11월 첫째 화요일에 실시되며 올해 2022년은 11월 8일에 실시되었다. 참고로 다음 중간선거 2024년 11월 5일로 예정되어 있다. 미 중간선거(Midterm election)는 큰 틀에서 보면 우리나라 총선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간략히 설명하자면 중..

2007년 초 다우니가 토니 스타크라는 인물을 설정하는데 머스크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론에서 밝힌 바 있다. 첨단 산업에 대해 배경지식이 크지 않은 영화배우의 눈에서도 불가능에 도전하는 열정과 아우라를 느꼈으리라 생각된다. 일론의 사업사를 살펴보면 시대를 넘어 대중이 열광할 수 있는 안목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의 포털사이트의 어쩌면 시초일 ZIP2부터 핀 테크의 시초 페이팔, 우주산업의 새 지평인 스페이스 X 및 전기로 움직이는 슈퍼카 테슬라까지 책에서 소개한 창업 스토리부터 발전과정, 거기에 묻어 나오는 위기대응 능력을 이번 2편에서 다뤄보고자 한다. “자신의 아이디어에 사로잡혀 온몸을 불사르고 한순간도 낭비하지 않는 유형의 인물인 일론 머스크는 ‘아이언맨’의 영화 주인공 스타크와 같다..

“미래과학의 판타지를 현실로 만든 미국 역사상 최고의 천재 사업가”, “스티브 잡스를 뛰어넘는, 미래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CEO”, “돈을 벌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무엇인가가 아닌 인류의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모험가” 등의 찬사를 받으며 또한 이 세상을 바꾸어 가고 있는 혹은 바꿀 수 있는 몇 안 되는 천재이자 괴짜라는 수식어를 가지며 트윗으로 언제나 논란의 중심이자 언론의 좋은 먹잇감(?)이 되어주는 연예인보다 유명한 기업가 일론 머스크에 대한 첫 번째 공식 전기를 다룬 책이다. 이 책은 2015년에 첫 출간되어 그 당시 이 책을 읽은 당사자라면 올해 들어 전고점 대비 반토막이 났음에도 테슬라로 푸근한 주가 수익률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한다. 실제로 국내 많은 ..